본문 바로가기
소식-정보

2025년 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혜택 상세 안내

by 새벽토끼 2025. 7. 16.
반응형

7월은 재산세 납부달이죠. 주요 카드사의 2025년 7월 기준 재산세 납부 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카드사별로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. 혜택은 카드 종류, 실적, 이벤트 응모 등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, 납부 전 각 카드사 공식 홈페이지·앱에서 반드시 최종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 

 

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혜택

 

 


📌BC카드
✔ 무이자 할부 : 2~4개월 무이자 할부 제공(5만 원 이상 결제 시)
✔ 페이북(앱) 마이태그 이벤트
  - 페이북 앱 '마이태그’ 응모 후 지방세/국세 30만 원 이상 납부 시 머니박스 최대 5만 원(페이북 머니) 제공. 월별로 응모 가능. 매월 혜택 반복 가능
  - 올해 국세 납부 이력이 없는 고객은 구간별로 △100만 원 이상: 7,000원 △300만 원 이상: 2만 원 △500만 원 이상: 3만 원 △1,000만 원 이상: 7만 원 페이북머니 추가 증정(응모 고객 한정)
✔ 포인트 적립 및 추가 이벤트
  - 일부 카드로 지방세 납부 시 에코머니 등 포인트 적립 프로모션 진행(그린카드 이용 시)
  - 결제일 할인 이벤트, 별도 조건에 따라 최대 1만 원 할인 가능(마이태그 응모 조건 등)

 

 


📌롯데카드
✔ 무이자 할부 : 2~5개월 무이자 할부(5만 원 이상 결제 시)
✔ LOCA Professional 카드 특별 프로모션
  - 국세·지방세 1% 기본 캐시백. 즉시결제(5일 이내) 시 1% 추가 캐시백(최대 2%).
  - 혜택 한도: 월 사용액 최대 200만 원까지 적용
✔ 기타 이벤트 : 일부 이벤트에서 결제 금액, 리볼빙 등 조건 달성 시 추가 캐시백 지급

 

 

 

 



📌KB국민카드
✔ 무이자 할부 : 2~3개월 무이자 할부
✔ 직장인보너스체크카드 혜택
  -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 시, 건당 10만 원 이상 국세/지방세 납부 시 7천 원 환급 할인(월 1회)
  - 신규 발급 시, 실적 상관없이 등록일로부터 60일까지 5천 원 환급.
✔ 실적 인정
  - 일부 신용카드는 재산세 납부 금액을 전월 실적에 포함시켜 주는 경우가 있음(카드사별 확인 권장)

 

 

 


📌신한카드
✔ 무이자 할부 :  2~3개월 무이자 할부(5만 원 이상 결제 시)
✔ 체크카드 납부 시 캐시백
  - 체크카드로 납부 시, 전체 납부금액의 0.1% 현금 캐시백(8월 7일 지급, 1만 원 미만은 포인트로 적립)
✔ 포인트 적립 등
  - 일부 신한 신용카드·체크카드에서 포인트 적립, 이벤트 응모 혜택이 병행될 수 있음.

 



📌우리카드
✔ 무이자/부분 무이자 할부 : 2~4개월 무이자, 10개월(5회 차부터 무이자), 12개월(6회 차부터 무이자) 등 길게 분납하는 할부 지원
✔ 기타 이벤트 : 카드 종류별로 스타벅스 쿠폰 등 소형 경품 이벤트 병행可.

📌하나카드
✔ 무이자/부분 무이자 할부 : 2~3개월 무이자 할부, 10개월(5회 차부터 무이자), 12개월(6회 차부터 무이자) 등 장기 분납 옵션 제공(5만 원 이상 결제 시)
✔ 포인트로 납부 가능 : 일부 상품은 적립 포인트를 세금 납부에 사용할 수 있음(상품별, 별도 확인 필요).

📌현대카드
✔ 무이자 할부 : 2~3개월 무이자 할부(5만 원 이상 결제 시), 최대 12개월 부분무이자 할부(6회 차부터 무이자 등)
✔ 포인트 납부 : M포인트로 재산세 납부 가능(일부 상품 한정, 비율·적용 카드 확인 필요)

 

 

 



📌NH농협카드
✔ 무이자/부분 무이자 할부 : 2~6개월 무이자 할부, 10개월 부분 무이자(5, 6개월은 1~2회 차, 7~10개월은 1~3회 차 수수료 고객 부담)
✔ 포인트 적립/사용 : 프로모션에 따라 포인트 납부 이벤트 병행 가능.

📌삼성카드
✔ 무이자 할부 : 2~3개월 무이자 할부
✔ 실적 인정 : 실적 인정 여부, 이벤트 적용조건은 삼성카드사별 확인 필요.


2025년 7월 기준, 다수 카드사에서 무이자 할부, 캐시백, 포인트 적립 또는 이벤트 사은품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정확한 내용과 조건은 납부 전 해당 카드사 공식 안내를 재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, 본인의 소비 패턴과 재산세 납부 금액, 이벤트 기간 등을 꼭 비교하여 최적의 방식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